(절세전략) ISA계좌를 추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? 장점과 단점의 비교. 이점은 무엇입니까?

ISA 계좌를 추천하는 이유 장단점 비교 장점은 무엇인가요?

안녕하세요 LMB입니다.
대학 동창 중 한 명이 ISA 계좌를 추천하느냐고 물었고, 저는 제가 아는 한 최선을 다해 설명했습니다.
무조건 만드는 게 좋다고는 했지만, 장점도 있고 단점도 분명히 있기 때문에 걱정이 될 수밖에 없었습니다.
별 고민 없이 만들어도 괜찮을 것 같은데, 추천하는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.
추천 주요 이유 : 절세혜택

이 계좌의 가장 큰 장점은 세금 절감입니다.
간단히 말해서, 세금 혜택은 주식 투자나 기타 금융 상품에서 발생하는 이익에 대한 세금을 크게 줄여줍니다.
세금을 줄여주면 무엇이 그리 좋은지 궁금하시겠지만, 소득이 늘어나고 세금부담이 늘어나면 자연스럽게 이 혜택의 중요성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.
비과세 혜택을 이용하면 최대 200만원의 이익금을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.
ISA 계좌 추천 중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.
상기와 같이 일반형은 최대 200만원, 근로자 및 농어민은 최대 400만원까지 세금이 면제됩니다.
일반주식계정의 경우 이익의 15.4%에 해당하는 배당소득세가 면제됩니다.
하지만 이 계좌는 비과세 계좌이기 때문에 주식 투자자라면 활용하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.
낮은 세율과 분리과세의 매력

또한, ISA 계좌를 추천하는 이유 중 하나는 분리과세의 매력입니다.
일반형은 200만원, 서민·농어민은 400만원을 초과하는 이윤에는 9.9%의 세율이 적용된다.
국내 배당소득세가 15.4%, 양도소득세가 22%인 점을 감안하면 추천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.
그러나 분명한 단점도 있습니다.
3년의 의무 기간 이후에 계정을 폐쇄하면 이전에 부과되지 않은 세금이 나중에 부과됩니다.
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금이 부과되지 않고 복리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점이 매력이라 ISA계좌를 추천드립니다.
당장 세금을 내지 않고도 그 기간 동안 더 많은 이익을 누릴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꽤 좋은 일이라고 생각합니다.
손익계산, 세금계산에 유리

일반 주식계좌는 손익을 합산해 세금을 계산하지만, 이 계좌는 투자이익과 손실을 합산해 세금을 계산한다.
한 항목에서 500만원 이익을 내고 다른 항목에서 200만원을 잃으면 500만원에서 200만원을 빼고 나머지 300만원에 대해서만 세금이 부과된다.
이 방법은 세금 부담을 줄여줍니다.
ISA 계좌를 제공하면 큰 장점이 있습니다.
ISA 계좌를 추천하는 글을 보면 단점을 알려달라는 요청이 많습니다.
먼저, 의무 가입 기간은 3년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.
이 기간 전에 계정을 폐쇄하는 경우, 받은 세금 혜택을 반환해야 합니다.
또한 15.4%의 이자소득세가 부과됩니다.
하지만 이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면 3년 동안 강제 장기투자를 한 것으로 볼 수 있다.
또 한 가지 고려해야 할 점은 해외 주식에 직접 투자할 수 없다는 점이다.
많은 분들이 해외관련 ETF를 구매하고 계시는데, 해외주식 직접투자에 대한 개정안도 논의되고 있으니 빨리 개선되길 바라겠습니다.
중도해지시 지급한도는 상이합니다.

이 계좌를 조기 인출할 경우 15.4%의 세금이 부과됩니다.
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조기 인출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, 부득이하게 인출해야 한다면 ISA계좌 추천의 가장 큰 이유인 면세혜택을 초과하지 않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
.그리고 조기 출금할 경우 해당 금액만큼 결제 한도가 감소됩니다.
1000만원 결제 후 500만원을 인출하면 남은 결제 한도는 1000만원이 아닌 500만원만 남는다.
하지만 한 달에 166만원 정도를 지불하기가 쉽지 않아 현실적으로 큰 부담은 되지 않을 것이다.
개인적으로 장기 투자 관점에서 장점이 많다고 생각해서 ISA계좌를 추천합니다.
단점이 있기는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절세 혜택을 누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
이제 막 시작하셨다면, 급한 돈이 있어도 이 계좌는 절대 건드리지 않겠다는 마음가짐으로 운영하셔서 절세 효과를 극대화하시길 바라겠습니다.
감사합니다